앞에 일정 공지 한 것처럼 4/28 은 세계 산재사망노동자추모의 날 입니다.
지역에서 아래와 같은 일정이 있으니, 가능한 회원들은 가급적 함께 해주시기 바랍니다.
---------------------------------------------------------------------

[05년도 노동자건강권쟁취 투쟁의 달 사업 "4.28 추모제"]

① 의의: ILO에서 규정한 세계 산재노동자 추모의 날을 맞아 산재사망열사를 추모함으로써,
현장에서 더 이상 산재노동자를 발생시키지 않겠다는 결의를 다지고,
시민들의 산재에 대한 인식을 확대하는 기회를 만듦.
② 일시: 04.28. 18:00
③ 장소: 전남대병원에서 행진하여 - 광주지방노동청 앞에서 마무리
④ 프로그램
-사전행사
1. 전남대병원 비정규직 철폐 집회 후 노동청 집결
-추모제
(사회: 민주노총 광주전남지역본부 노동안전보건부장 문길주)
1. 개회선언
2. 민중의례
3. 참석자 소개
4. 대회사 민주노총 지역본부 본부장
5. 이 노동자를 기억합시다! 삼호중공업 지회장
산재노동자 증언발언 이명준 산재환자
산재노동자 증언발언 김경덕 산재환자
6. 연대사 광주노동보건연대
7. 진혼무(또는 진혼곡)
8. 투쟁사 금호타이어 노조위원장 허용대
9. 추모시 낭송
10. 결의문 금속연맹 조직부장

--------------------------------------------------------------------

[세계산재노동자 추모의 날 역사적 의미]


전세계가 함께 하는 ‘4월 행사’
그렇다면 4월 행사는 어떻게 시작되었나. 지난 1993년 5월 태국 케이더(Kader) 장난감공장에서 화재가 발생해 188명(이 가운데 174명이 여성노동자)이 목숨을 잃었다. 이 사건은 “선진국 어린이들의 꿈이 담긴 장난감을 만드는 과정에 개발도상국 노동자의 피와 죽음이 묻어있다”는 현실을 각성하게 하였다.
3년 뒤인 1996년 뉴욕 유엔본부에서 열린 ‘지속가능한 발전위원회(Committee on Sustainable Development)’ 회의에 참석했던 국제자유노련 노조 대표들이 중심이 돼 산재로 사망한 노동자를 위한 ‘촛불 밝히기’ 행사를 열었다. 국제자유노련은 “노동자를 죽이고 몸을 망가지게 하는 발전은 지속 가능한 발전이 아니다”고 상기시킨 것이다.
국제자유노련은 더불어 각 회원 조직에게도 이 날 행사를 진행할 것을 요청했고, 70여개 나라에서 촛불 밝히기 행사가 진행되면서 4월28일 추모행사가 시작되었다.
한편 1914년 4월28일 캐나다 온타리오주 의회에서는 캐나다 최초로 ‘산재보상법’ 최종심의를 마쳤다. 캐나다노총(CLC)은 1984년부터 이날을 추모의 날로 정하고 전국적으로 기념행사를 진행해왔다. 이어 1991년 2월1일엔 진보정당인 신민주당(NDP) 소속 의원이 연방의회에 제출한 법안이 통과되면서 법정 추모의 날로 확립되었다. 그밖에 태국, 타이완, 브라질, 포르투갈, 도미니카공화국, 페루, 아르헨티나, 버뮤다, 파나마 등에서도 4월28일을 법정기념일로 지정하였고 추모행사를 열고 있다.
한국에서는 지난 1988년 7월2일, 당시 15살 노동자 문송면 군이 수은중독으로 숨지고, 비슷한 시기에 원진레이온 사건이 사회화되면서 노동자의 안전과 작업환경에 대한 문제의식이 싹텄다. 그 뒤 1990년부터 민주노조운동이 산업재해, 노동자건강과 안전에 관한 활동을 펼치기 시작하면서 1990년 7월을 ‘산재추방의 달’로 정하게 된 것이다. 이어 2002년부터는 4월을 노동자 건강권 쟁취의 달로 정해 행사를 이어오고 있다.


‘7월 산재추방의 달’에서 지평 넓혀
4월 행사는 전세계적으로 ‘추모’와 ‘행동’ 두 가지 차원에서 진행된다. 첫째, 산재사망자에 대한 ‘추모’로서 숨진 노동자가 일하던 자리에 안전화를 놓는 것에서부터, 시민들과 함께 하는 촛불추모제까지 다양하게 펼쳐진다. 둘째, ‘행동’으로는 기업의 책임을 강화하기 위한 공동행동이 마련된다. 2003~4년의 국제적 추세는 ‘기업살인법’을 제정하는 것이었다. 우리나라에서도 기업살인법 제정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올해 4월에도 노동자가 죽지 않는 현장, 좀더 안전한 현장을 만들기 위해 전세계 노동자들은 촛불을 들게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