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호타이어] 4천150원 임금 받는 비정규직 파업 이유
 
2010년 05월 08일 (토) 22:34:56 금속노조 광주전남지부 손상용
 

"5월 5일 어린이날에 공장 현장투쟁을 진행하고 철야농성을 하였다. 오늘 5월 8일 어버이날도 공장 식당에 모여 철야농성을 진행하고 있다. 비정규직 노동자로 살아가며 큰 꿈이 있는 것은 아니다. 휴일에는 가족들과 함께 식사라도 한끼 하는 것이 소박한 희망이다. 금호자본과 도급사의 임금체불과 임금삭감 강요로 인해 이렇게 소박한 희망 조차 물거품 되는 현실에 화가 난다."

부분파업을 포함하여 12일째 전면파업에 함께하고 있는 금호타이어 비정규직 노동자의 목소리다.

금호타이어 원청의 도급비 20% 삭감을 이유로 도급사에서는 노동자 임금, 상여금, 복지를 축소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금호타이어 비정규직 노동자 400여명 중 220명이 최저임금인 4,110원보다 불과 몇 십원 많은 4,150원의 시급을 받고 있다.

   
▲ 금호타이어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8일 금호타이어 곡성공장에서 직장폐쇄를 규탄하는 집회를 열고 있다. ⓒ금속노조 광주전남지부 제공

 

특히 금호타이어에서 식당, 미화, 경비 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노동자 대부분의 현실이다.

김종현 조합원은 "도대체 얼마나 더 허리띠를 줄이란 말인가? 굶어 죽으라는 소리나 다름없다. 조기 교섭타결을 요구하며 1월부터 체불임금도 주지 않고, 80만원 정도하는 상여금도 50만원으로 깍는다하고 임금도 줄이면 도대체 어떻게 사냐?"라고 얼굴을 찌푸리며 목소리를 높였다.

"파업 11일째, 무노동무임금으로 월급의 절반 정도가 줄어들 수 밖에 없지만 노동자의 얼굴에서 희망을 보고 있다. 목소리 한 번 제대로 못내고 연월차 한 번 제대로 못쓰던 노동자들이, 함께 모여 투쟁가를 부르고 구호를 외치면서 속이 다 시원하다고 하고 있다." 금호타이어 비정규직지회 박연수 지회장의 말이다. 
 
               

     

 

 

비정규직 노동자들은 그동안 해보지 못한 일들을 이번 파업기간 동안 진행하였다. 전 조합원이 금호타이어 파업광장에 모여 전면파업 출정식을 개최하고, 처음으로 전 조합원 체육대회를 진행하였다. 비정규직 노동자들은 그동안 4조 3교대로 같은 회사 동료 얼굴 한 번 제대로 볼 수 없었다고 한다. 이번 파업투쟁을 진행하면서 저녁에 회사별로 동료들과 소주잔을 기울일 수 있어서 즐거웠다는 조합원의 말에서 미소를 볼 수 있었다.

현재 금호타이어 사내협력업체(도급업체)가 8일 07시부로 직장폐쇄를 단행하였다. 이에 금호타이어 비정규직지회는 전면파업을 유지하며 전 조합원과 곡성공장에서 철야농성을 진행하고 있다. 곡성공장 식당 조합원까지 파업에 참여하고 있다. 또한 금호타이어 원청의 대체인력 투입을 막기 위해 식당 앞에 천막을 설치한 상태이다.

금호타이어 도급업체 사장단과의 교섭은 답보상태에 있다. 지회는 최저임금 수준의 임금에서 더 이상 삭감할 수 없다고 사측의 안을 거부하고 있다. 노측 교섭대표로 참석하고 금속노조 광주전남지부 이기태 부지부장은 "노사의 입장차가 크다. 노측은 언제든지 교섭에 임한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현재의 불합리한 사측의 안을 수용할 수 없다."라고 전했다.

지회는 오전 오후 약식 집회를 진행하며 조합원과 투쟁과정을 소통하고 있다. 특히 8일에는 금속노조, 민주노총, 진보정당의 연대단위와 함게 결의대회를 진행하였다. 곡성공장에서의 전조합원 철야농성 2일째를 맞아 집행 간부들은 분주한 모습이다.

   
▲ 임금 상여금 삭감에 맞서 금호타이어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파업을 단행하자 사측이 직장폐쇄로 맞대응하자 지역노동계가 크게 반발하고 있다. ⓒ금속노조 광주전남지부 제공

 

숙소를 정하고 식사를 챙기고 파업 대열을 일사분란하게 지도하느라 바쁘게 뛰어다니고 있다. 오늘은 파업대오를 3개조로 나누었다. 금호타이어 원청이 직장폐쇄를 이유로 일반직 사원들을 식당에 투입할 수 있다는 불안감에 조를 편성하여 순찰하겠다는 것이다.

경영이 어려워지면 그 책임을 노동자에게 먼저 전가하는 경영진에 맞서 생존권을 사수하겠다고 외치는 비정규직 노동자들의 목소리가 높다. 그동안 노동자에게 경영위기 책임을 전가했던 도급업체가 먼저 양보해야 한다는 지역 시민들의 이야기에 주목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