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지역 비정규직 현황, 실태 보고서



2003년 전체 노동자 수가 1천4백만을 넘어섰다. 비정규직의 경우 해마다
증가하여 2003년 8월 통계청 조사에서만 임금노동자의 55.4%인 784만명으
로 집계됐다. 비정규직의 고용불안과 차별이 사회문제화 되기 시작한 것
이 이미 6년째. 현정부의 대통령은 대선공약으로 우선 공공부분의 비정규
차별을 해소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선언하였으나, 차별해소는커녕 비정규
직이 더욱 확대심화 되고 있는 현실이다.

민주노총은 2003년부터 2007년까지 100만대 민주노총 시대를 향한 준비과
정으로 비정규직, 미조직 5개년 사업방향을 설정하였다. 비정규직 조직화
를 위한 5대전략산업 선정을 포함한 4대 핵심사업의 추진이 바로 그것이
다.

그러나 총연맹에서의 전략적 계획과 지역에서의 활동들은 전혀 별개의 것
으로 진행되고 있다. 사업의 접점이라고 하면 '비정규직'이라는 주제의 집
회 행사 및 캠페인 정도의 수준에서 그칠 뿐 각개투쟁의 모습인 것이다.
부산지역의 경우, 비정상적으로 큰 서비스 산업의 덕택으로 비정규직의 비
율 또한 그만큼 클 것이라 예상하고 있으나 아직 이것에 대한 제대로 정리
된 통계나 자료조차 없는 것이 현실이다. 또한 이미 조직된 비정규직 노동
조합, 단체 조차 그 범위와 현황이 체계적으로 파악되지 못하고 있다. 비
정규직 투쟁에 있어 연대의 필요에 대한 목소리는 해를 거듭할수록 커지
고 있으나 제대로 지역 현황조차 파악되지 않고 있는 현실에서는 그 어려
움이 크다.

그리하여, 2003년을 정리하고 2004년 새로운 한해를 맞는 시점에 부산지
역의 비정규 현황에 대한 간단한 정리를 한다. 현황정리는 2003년 년말 4
개월 동안 진행된, 제1기 미조직비정규직 신규조직활동가 학교 교육과정에
서 보고/듣고/정리한 내용들로 채워져 있다. 정책 담당자 혹은 전문가의
손으로 작성한 보고서가 아니라 분석틀이 덜 정돈되고 조잡한 수준이다.
2004년과 향후 지역내의 현황분석을 위한 자료로 거듭나기 위해서 충분히
수정 보완되어야 할 것이다.
<차례>
1. 비정규직 현황 개략
2. 현재 부산지역 비정규직 조직 현황
3. 각 단위별 현황, 실태, 주요노조, 조직화 방안
4. 민주노총의 4대 핵심사업 설명
5. 민주노총 부산본부 2003년 사업평가
6. 주요 연관 사업 : 최저임금 캠페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