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미국은 우리에게 무엇인가] 해방 이후 오늘날까지 우리 사회에 압도적인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는 미국 중심의 패권주의적 질서를 되돌아보고, 책의 제목 그대로 "미국은 우리에게 무엇인가"를 비판적으로 성찰하는 책입니다. 더불어 국제통화기금 사태 이후 우리 사회에 거역할 수 없는 추세로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미국 주도의 신자유주의적 세계화의 배경과 의미, 그리고 우리 사회의 미래에 관한 국내 학자들의 진지한 성찰이 담겨져 있습니다. 임길진(KDI 국제대학원 원장), 강정구(동국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이병천(강원대 경제학과 교수), 이삼열(숭실대 철학과 교수) 등이 글을 쓰고 토론했으며, 강치원(강원대 사학과 교수, 역사문화아카데미 원장)이 엮어냈습니다. 주요 내용은 한미관계의 역사와 한국사회의 미국적 가치 우리 교육을 둘러싼 미국주의 비교문화적 관점에 바라본 미국 기획좌담: 신자유주의, 세계화, 미국-미국은 우리에게 무엇인가(강정구, 이병천, 박노영, 강치원 등) 총 4부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신국판 384쪽 13000원 강치원 엮음, 2000년 12월 10일 출간 2. [세계화와 한국사회의 미래] IMF 구제금융사태 이후 우리 사회의 개혁모델과 이념적 기초로 활용되고 있는 미국 중심의 신자유주의적 세계화의 배경과 의미를 추적하면서, 바람직한 세계화의 방향을 모색하는 책입니다. 더불어 우리에게 아름다운 나라로만 알려져 있는 미국 사회의 현실을 역사적으로 고찰하면서 우리 사회에 내면화된 미국 중심적 가치를 비판적으로 성찰할 것을 촉구하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한국경제와 교육분야 등 다양한 사회분야에 미국 중심의 신자유주의적 세계화가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를 비판적으로 분석한 글들이 담겨 있지요. 우리 시대의 중요한 화두 가운데 하나인 이 문제들을 진지하게 고민하는 독자들에게 널리 알려질 수 있기를 바랍니다. 주요 내용 미국, 유토피아인가 디스토피아인가 신자유주의적 세계화의 흐름 속에서 세계시민적 이성은 가능한가 신자유주의적 세계화와 한국경제의 진로 신자유주의적 세계화와 우리 교육의 미래 등 총4부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주요 서지사항 이삼열(숭실대 철학과 교수), 유팔무(한림대 사회학과 교수), 송순재(감리교신학대 교육학과 교수) 등이 글을 썼고, 강치원 역사문화아카데미 원장이 엮어냈습니다. 신국판 448쪽, 15000원 2000년 12월 10일 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