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노동연구원에서 발간한 한국 노동운동사 관련 연구보고서 2종입니다. 참조하세요.

- <1987년 이후 한국의 노동운동> (최영기,김준,조효래,유범상, 2001-01-30)

- <한국의 노동운동 이념>(유범상, 2005-12-30) 



<<세부목차>>


1. 1987년 이후 한국의 노동운동

저자: 최영기,김준,조효래,유범상 

출판일 : 2001-01-30


제1부 서론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시각과 한계

제2절 시기구분 및 전개과정

제2장 87년 이후 노동정치의 전개와 전망: 개발모델의 해체와 노동운동의 미래

제1절 문제의 제기

제2절 개발모델에 대한 노동운동의 도전

제3절 개발모델의 경제적 위기와 임금장치

제4절 노동법 개정의 정치와 개발모델의 정치적 위기

제5절 시장의 규율과 노동운동의 위기

제6절 결론: 미래의 노동운동


제2부 1987년 노동자 대투쟁과 새로운 노동운동 지형의 형성(1987-89)

제3장 머리말

제4장 1987년 7,8,9월 노동자 대투쟁

제1절 노동자 대투쟁의 서곡: 노동운동의 성장과 민주화

제2절 1987년 노동자 대투쟁 전개과정

제3절 노동자 대투쟁의 평가

제5장 노동운동의 조직화와 새로운 노동운동지형의 형성

제1절 노동자 대투쟁 이후의 노동정치 개관

제2절 민주노조진영의 조직화 및 한국노총 개혁 시도와 노동정치의 전개

제3절 노동법 개정과 권리의 확장

제4절 노동쟁의의 전개와 교섭의 정착화

제5절 노동자들의 정치참여

제6절 노동운동과 새로운 노동정치지형


제3부 노동운동의 성장과 좌절(1990-95)

제6장 노동운동의 분화와 경쟁(1990-92)

제1절 1990년대 초 노동운동의 정치경제적 배경

제2절 전노협의 출범과 민주노조진영의 결집

제3절 한국노총의 개혁시도

제4절 노동운동의 정치적 진출 시도와 좌절

제5절 노동법 개정운동의 전개

제6절 기업수준 노사관계: 상대적 안정화, 제도화 속의 각충

제7절 노동쟁의의 전개


제7장 정부의 사회적 합의시도와 조직노동의 엇갈린 대응

제1절 김영삼 정부 전반기의 노동정책과 경제사정

제2절 한국노총의 사회적 합의추진과 조직적 위기, 그리고 개혁의 시도

제3절 민주노동진영의 결집: 민주노총 건설과정

제4절 노동법 개정운동

제5절 노동쟁의의 전개


제4부 노동환경의 변화와 노동운동의 새로운 모색(1996-99)

제8장 노동법 개정협상과 총파업투쟁(1996-97)

제1절 노동법 개정을 위한 협상과 투쟁

제2절 노동법 날치기 통과와 총파업투쟁

제3절 1996-97년 노동쟁의의 전개

제4절 한국노총의 개혁과 산별노조 건설의 움직임

제5절 13대 대통령 선거와 노동조합의 정치활동


제9장 경제위기와 고용안정 투쟁(1998-99)

제1절 노동환경의 변화와 사회협약

제2절 구조조정과 정리해고 반대투쟁

제3절 재벌기업과 공공부문의 구조조정 반대투쟁

제4절 임.단투와 노동쟁의의 새로운 쟁점

제5절 노동조합의 내부정치와 조직혁신


제5부 평가

제10장 평가: 종합토론

제1절 1987년 이후 한국의 노동운동(초청토론회)

제2절 1987년 이후 한국의 노동운동(내부토론회)




2. 제목 : 한국의 노동운동이념

저자: 유범상 

출판일: 2005-12-30

 

요 약 ⅰ


제1장 논점과 접근법 1

제1절 논 점 1

1. 이념사:이념의 과잉과 소통의 빈곤 1

2. 이념:물질성과 자기 현시 12

3. 정치:정체성의 정치와 소통의 미학 15

제2절 접근법 22

1. 범 주 22

2. 방 법 24

제3절 주 제 30


제2장 생존게임을 통한 이념지형 형성(1945~53년) 35

제1절 자유민주주의의 비극적 탄생:생존게임과 레드콤플렉스 35

제2절 혁명적 노동조합주의 44

1. 사회주의와의 만남 44

2. 내용과 정의 52

3. 조직과 실천 64

제3절 반공적 노동조합주의 76

1. 반공주의와 만남 76

2. 내용과 정의 85

3. 조직과 실천 88

제4절 승자독식과 기형적인 이념지형의 형성 92


제3장 이익과 인간(1970년대) 95

제1절 한국적 민주주의:반공주의와 근대화 95

제2절 민주노조와 인간적 노동조합주의 102

1. 기독교와 휴머니즘과의 만남 102

2. 내용과 정의 110

3. 조직과 실천 120

제3절 협조적 노동조합주의 124

1. 근대화 담론과 한국노총의 만남 124

2. 내용과 정의 133

3. 조직과 실천 138

제4절 독주와 저항 141


제4장 변혁과 개혁(1980년대) 145

제1절 광주의 발견:계급과 사회주의 145

제2절 변혁적 노동조합주의 157

1. 마르크스주의와의 만남 157

2. 정의와 내용 177

3. 논쟁과 위기 182

4. 조직과 실천 233

제3절 실리적 노동조합주의 262

1. 자유민주주의와 만남 262

2. 내용과 정의 266

3. 조직과 실천 272

제4절 경합과 이념지형의 변형 279


제5장 도전과 모색(1990년대 이후) 284

제1절 이념의 혼란, 혼동, 그리고 분화 284

제2절 민주노총의 도전과 모색 294

1. 조직과 실천:이견그룹의 등장과 정치적 성장 294

2. 논쟁과 분화:사회주의와 사민주주의 348

3. 분화와 경쟁:사회주의 혹은 사민주의? 466

제3절 한국노총의 도전과 모색 469

1. 새로운 실천과 노동운동노선의 점검 470

2. 정치세력화의 도전과 좌절 482

3. 분화와 경쟁:자유주의 혹은 사민주의? 507

제4절 이념분화와 정체성의 딜레마 510


제6장 평가와 전망 515

제1절 경합, 진화, 분화, 그리고 딜레마 515

제2절 이념빈곤의 기원 523

제3절 소통의 풍요와 정체성의 정치를 향하여 532


참고문헌 5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