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획
- 2016/04 제15호
신종질병 유발하는 자본주의
신종질병을 유발하는 자본주의
신종질병이 발생하면 많은 사람들이 관심을 갖고, 때로 공포와 불안에 사로잡히기도 합니다. 세계보건기구나 각국의 대응이 시시각각 언론을 통해 알려지기도 하죠. 이렇게 매년 새로운 질병이 보고됩니다. 그래서 인간이 어찌할 수 없는 숙명처럼 느껴지기도 하구요. 한때는 과학과 의학의 발전으로 이런 걸 극복할 수 있다고 낙관하기도 했죠.
그러나 한 가지 생각해볼 게 있습니다. 질병의 발생과 확산에는 사회적 원인이 있다는 사실입니다. 앞 강의에서 살펴보았듯 근골격계질환, 수면장애, 만성질환 등 다양한 질병이 자본주의라는 사회적 생산양식과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전염병과 역사
질병과 역사의 관계를 말할 때 빠지지 않는 전염병이 있습니다. 바로 페스트(흑사병)입니다. 페스트균은 평소 쥐와 벼룩에 토착화해서 사는데 드물게 인체감염이 되면 2~3일 내로 사망에 이르는 심각한 질병을 일으킵니다. 사망할 때 면역 기관이 위치한 목이나 겨드랑이 부분들이 검게 변해서 흑사병이라 불렸습니다. 현재는 항생제로 치료가 가능해졌습니다.
흑사병이 유럽의 중세 말에 유행했다는 사실은 잘 알려져 있습니다. 그러나 흑사병은 이전에도 유행했습니다. 6세기 초 동로마 제국의 콘스탄티노플에서 시작되어 유럽 전역으로 확산했던 ‘유스티니아누스 페스트’가 첫 유행이었습니다. 이후에도 페스트는 간헐적으로 창궐하다가 750년 이후 종적을 감춥니다. 중세 600년 동안 등장하지 않던 페스트는 다시 1348년에 재창궐합니다. 동유럽에서 서쪽으로 확산하며 한 도시에 유행하면 4~6개월 간 인구의 3분의 1에서 4분의 1이 사망했습니다. 당시의 공포와 절망은 문학, 미술 등 다양한 예술로도 표현되었습니다. 해골들이 함께 춤을 추는 ‘죽음의 춤’과 같은 미술 작품은 현세의 삶의 영광이 헛되다는 것을 일깨우는 의미가 있었습니다.
호사가들은 전염병이 없었다면 역사가 다른 방향으로 흘러갔으리라 상상을 펼치기도 합니다. 그러나 전염병의 역사를 보면 오히려 전염병의 발생이 사회적 조건과 무관하지 않다는 것을 발견하게 됩니다. 750년 이후 종적을 감췄던 페스트가 왜 600년이 지나 다시 유럽에서 유행하게 되었을까요? 역사학자들은 14세기 중세 대기근으로 인해 유럽인들의 집단적인 면역력이 약화되었고, 만연한 전쟁으로 인해 군대 내 감염이 자주 발생했기 때문이라고 해석하고 있습니다. 페스트의 유행은 중세가 위기에 빠졌음이 드러나는 하나의 사건이었습니다.
자본주의와 콜레라
그럼 최근에 발생한 전염병을 살펴볼까요? 식민지를 통해 확장된 19세기 제국주의의 특징을 반영하는 전염병이 있습니다. 바로 콜레라입니다. 콜레라는 수인성전염병으로 콜레라균이 서식하는 물을 먹으면 감염이 되고, 곧 급성 설사를 일으키며 다시 콜레라균을 번식시킵니다. 매우 급속하게 전파될 뿐만 아니라 치료받지 않으면 50~70퍼센트가 사망에 이릅니다. 하지만 현대에는 수액 치료 등을 통해 치사율을 1퍼센트 이하로 낮출 수 있죠.
인도 벵골만의 풍토병이던 콜레라는 육로와 해로 무역망을 타고 전 세계로 확산됐습니다. 1817년 인도에서 유행한 콜레라는 1830년 초 영국 런던 및 주요 공업도시에서 창궐했고 1833년엔 미국과 멕시코까지 번집니다. 또 일본, 중국 등 아시아로도 전파됩니다.
공장에서 일하기 위해 도시로 간 영국 노동자들은 상하수도가 제대로 분리되어 있지 않고, 밀집되고 비위생적인 주거 환경에서 생활했습니다. 장시간 노동과 영양실조는 질병에 맞설 면역력마저 약화시켰죠. 콜레라가 창궐하기 딱 좋은 생태적 조건이었던 것입니다.
19세기 전반기에는 콜레라뿐만 아니라 결핵, 발진티푸스 등 다양한 전염병이 창궐했습니다. 이에 대한 대중의 불만과 공포는 1830년대 혁명운동, 대중 봉기와 결합했습니다. 엥겔스와 비르효는 질병의 원인을 사회적 생산관계와 계급구조에서 찾았고, 질병을 해결하기 위해선 전반적인 사회변화가 필요하다고 주장했습니다.
이후에 ‘사회의학’이라 불리게 된 이러한 인식은 지배계급에게 전염병만큼이나 위협적이었습니다. 이후 전염병에 대한 부르주아들의 대응은 검역과 격리라는 초기 대응을 넘어 적극적인 위생 개혁으로 발전했습니다.
헌데 이 위생 개혁은 빈곤을 만드는 사회 자체를 문제로 삼는 것이 아니라 빈곤한 이들의 비위생적인 환경을 문제시 했습니다. 영국의 위생 개혁을 주도한 채드윅은 오물을 바다로 배출하는 하수도 시스템의 건설을 도입했고, 이후 전 세계로 빠르게 확산됩니다. 영국의학저널(BMJ)의 설문조사에 따르면 1840년 이후 가장 뛰어난 의학 업적으로 상하수도가 꼽혔습니다.
의학의 승리?
상하수도의 건설이 순탄한 것만은 아니었습니다. 사유지를 가진 영국의 유산계급은 하수도의 효과에 대해서도 의문을 표명하며 자신의 땅에 하수도가 지나가는 것을 반대했습니다. 하지만 콜레라가 물을 통해 전염되는 수인성 전염병이라는 것이 발견되면서, 하수도 건설은 힘을 받습니다. 또 세균학, 병리학의 발전으로 특정 감염병의 원인은 특정한 세균(병원체)에 있다는 ‘세균병인론’이 확립됐습니다.
20세기 들어 의학은 비약적으로 발전합니다. 20세기 초 항생제의 발견과 백신의 확산으로 감염성 질병을 퇴치할 수 있다는 자신감이 생겼습니다. 세균 감염은 항생제로 치료하면 되고, 바이러스 감염은 백신으로 미리 예방하면 되기 때문입니다. 실제로 오랜 시간 인류를 괴롭혀온 천연두를 1977년 마지막 환자를 끝으로 종식시켰습니다. 낙관적인 학자들은 모든 병이 천연두처럼 사라질 것이라고 전망하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이런 기대는 그리 오래가지 않았습니다.
신종감염병의 반격
세계보건기구가 천연두 종식을 선언한 이듬해인 1981년 에이즈(AIDS, 후천성면역결핍증후군)가 최초로 임상적으로 발견됩니다. 에이즈는 이제 세계적 범유행병이 되어서 매년 200만의 환자가 새로 발생합니다. 1976년에는 에볼라 바이러스가 아프리카에서 최초로 유행합니다. 에볼라는 현재까지 20회 이상 중서부 아프리카 국가를 중심으로 발생했습니다. 특히 2014년에는 역사상 가장 큰 규모로 확산되어 1만 1300명이 넘는 사망자가 발생했습니다. 전염병을 종식시킬 줄 알았던 현대 의학의 낙관적 전망은 사라지고, 신종감염병은 현대 의학의 가장 중요한 과제 중 하나가 되었습니다.
신종감염병의 확산에는 다양한 사회적 원인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에볼라 바이러스는 아프리카의 빈곤과 내전, 이윤 추구와 생태 파괴의 산물입니다. 방대한 삼림 벌채로 인해 깊은 숲까지 인간의 생활반경이 넓어지면서 열대우림 야생동물이 가지고 있던 알려지지 않은 바이러스에 인간이 노출된 것입니다. 이번에 에볼라가 발생한 라이베리아, 시에라리온, 기니는 최근 수년 간 가장 높은 수준의 삼림벌채와 파괴가 일어난 지역입니다. 게다가 열악한 경제 상황과 끊임없는 내전으로 인해 공중보건 체계도 없습니다. 안전 장비는커녕 제대로 된 병원 건물이나 인력조차 부족했습니다. 에볼라로 사망한 이들 중 10퍼센트가 보건의료 종사자들이었습니다.
에볼라는 발견된 지 40년이 넘도록 백신이나 치료제를 개발하지 못했습니다. 동물실험에서 효과를 보이는 백신을 개발하긴 했는데요. 초국적 제약기업들이 시장성이 없다는 이유로 임상시험을 외면했기 때문입니다. 이런 사회경제적 원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사상 최대의 에볼라 유행이 2014년에 일어난 것입니다.
신종 질병이 제기하는 과제
다른 감염병 또한 마찬가지 입니다. 새로운 바이러스가 주기적으로 나타나 유행하는 독감도 마찬가지입니다. 독감의 원인인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숙주의 개체 수가 많고 밀집돼 있을수록, 다른 종과 접촉이 빈번할수록 변이를 잘 일으킵니다. 철새 서식지의 파괴로 가금류와 야생 조류가 접촉하면서 조류독감이 발생했고, 멕시코의 공장식 축산업으로 인해 돼지독감이라고도 불렸던 신종플루가 발생했습니다.
메르스가 유독 한국에서 유행한 것은 취약한 공공의료 때문이었습니다. 공공병원이 부족해 전염병에 대응할 인프라가 부족했고, 민간병원은 돈이 되지 않는 감염관리에는 투자를 하지 않았습니다.
과도한 개간, 공장식 축산업, 의료민영화 등 인간이 많은 사회적 조건으로 인해 신종감염병이 발생했고, 이 신종감염병은 다시 인간을 위협하고 있습니다. 이런 최근 현상은 앞서 지난 19세기 질병의 사회적 원인을 분석하고, 전반적인 사회적 변화가 질병의 해결책이라고 주장했던 엥겔스와 비르효를 떠올리게 합니다. 세균병인론과 치료의학의 발전은 질병의 원인을 개인의 문제나 생물학적 요인으로 환원하면서 사회적 원인을 과소평가했습니다. 그것이 지배계급이 바라는 것이기도 했습니다.
현대 의학은 지금도 계속 발전하고 있습니다. 현재 인류를 위협하는 새로운 질병에 대처하기 위해선 질병에 대한 개별적인 과학지식뿐만 아니라 질병이 확산되고 인체에 파괴적인 결과를 만드는 과정에서 사회 생태적 요인이 어떻게 작용하는지에 대한 통합적 인식이 있어야 합니다. 질병의 고통에서 벗어나려는 노력 역시 의학과 의료 행위 뿐만 아니라 새로운 대안 세계에 대한 전망과 함께 해야 하겠죠. 이어질 마지막 연재에서는 자본주의와 질병에 맞선 사회의학의 도전에 대해 살펴보고, 여러분과 함께 전망을 찾아나가려 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