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rld's Labor Federations React to Financial Crisis with Proposals from Re-regulation to Socialism(Dan La Botz)를 요약 번역한 자료입니다. 최근 금융위기에 대한 여러 노총들의 입장을 소개하고 있습니다. (국제노총, 유럽노총, 미국노총, 일본젠로렌, 브라질노총, 남아공노총의 입장 및 프랑스/스페인/멕시코/베네수엘라 여러 노조들의 입장) 원문은 http://mrzine.monthlyreview.org/labotz241008.html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 한국노동연구원에서 발간한 한국 노동운동사 관련 연구보고서 2종입니다. 참조하세요.
- <1987년 이후 한국의 노동운동> (최영기,김준,조효래,유범상, 2001-01-30)
- <한국의 노동운동 이념>(유범상, 2005-12-30)
<<세부목차>>
1. 1987년 이후 한국의 노동운동
저자: 최영기,김준,조효래,유범상
출판일 : 2001-01-30
제1부 서론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시각과 한계
제2절 시기구분 및 전개과정
제2장 87년 이후 노동정치의 전개와 전망: 개발모델의 해체와 노동운동의 미래
제1절 문제의 제기
제2절 개발모델에 대한 노동운동의 도전
제3절 개발모델의 경제적 위기와 임금장치
제4절 노동법 개정의 정치와 개발모델의 정치적 위기
제5절 시장의 규율과 노동운동의 위기
제6절 결론: 미래의 노동운동
제2부 1987년 노동자 대투쟁과 새로운 노동운동 지형의 형성(1987-89)
제3장 머리말
제4장 1987년 7,8,9월 노동자 대투쟁
제1절 노동자 대투쟁의 서곡: 노동운동의 성장과 민주화
제2절 1987년 노동자 대투쟁 전개과정
제3절 노동자 대투쟁의 평가
제5장 노동운동의 조직화와 새로운 노동운동지형의 형성
제1절 노동자 대투쟁 이후의 노동정치 개관
제2절 민주노조진영의 조직화 및 한국노총 개혁 시도와 노동정치의 전개
제3절 노동법 개정과 권리의 확장
제4절 노동쟁의의 전개와 교섭의 정착화
제5절 노동자들의 정치참여
제6절 노동운동과 새로운 노동정치지형
제3부 노동운동의 성장과 좌절(1990-95)
제6장 노동운동의 분화와 경쟁(1990-92)
제1절 1990년대 초 노동운동의 정치경제적 배경
제2절 전노협의 출범과 민주노조진영의 결집
제3절 한국노총의 개혁시도
제4절 노동운동의 정치적 진출 시도와 좌절
제5절 노동법 개정운동의 전개
제6절 기업수준 노사관계: 상대적 안정화, 제도화 속의 각충
제7절 노동쟁의의 전개
제7장 정부의 사회적 합의시도와 조직노동의 엇갈린 대응
제1절 김영삼 정부 전반기의 노동정책과 경제사정
제2절 한국노총의 사회적 합의추진과 조직적 위기, 그리고 개혁의 시도
제3절 민주노동진영의 결집: 민주노총 건설과정
제4절 노동법 개정운동
제5절 노동쟁의의 전개
제4부 노동환경의 변화와 노동운동의 새로운 모색(1996-99)
제8장 노동법 개정협상과 총파업투쟁(1996-97)
제1절 노동법 개정을 위한 협상과 투쟁
제2절 노동법 날치기 통과와 총파업투쟁
제3절 1996-97년 노동쟁의의 전개
제4절 한국노총의 개혁과 산별노조 건설의 움직임
제5절 13대 대통령 선거와 노동조합의 정치활동
제9장 경제위기와 고용안정 투쟁(1998-99)
제1절 노동환경의 변화와 사회협약
제2절 구조조정과 정리해고 반대투쟁
제3절 재벌기업과 공공부문의 구조조정 반대투쟁
제4절 임.단투와 노동쟁의의 새로운 쟁점
제5절 노동조합의 내부정치와 조직혁신
제5부 평가
제10장 평가: 종합토론
제1절 1987년 이후 한국의 노동운동(초청토론회)
제2절 1987년 이후 한국의 노동운동(내부토론회)
2. 제목 : 한국의 노동운동이념
저자: 유범상
출판일: 2005-12-30
요 약 ⅰ
제1장 논점과 접근법 1
제1절 논 점 1
1. 이념사:이념의 과잉과 소통의 빈곤 1
2. 이념:물질성과 자기 현시 12
3. 정치:정체성의 정치와 소통의 미학 15
제2절 접근법 22
1. 범 주 22
2. 방 법 24
제3절 주 제 30
제2장 생존게임을 통한 이념지형 형성(1945~53년) 35
제1절 자유민주주의의 비극적 탄생:생존게임과 레드콤플렉스 35
제2절 혁명적 노동조합주의 44
1. 사회주의와의 만남 44
2. 내용과 정의 52
3. 조직과 실천 64
제3절 반공적 노동조합주의 76
1. 반공주의와 만남 76
2. 내용과 정의 85
3. 조직과 실천 88
제4절 승자독식과 기형적인 이념지형의 형성 92
제3장 이익과 인간(1970년대) 95
제1절 한국적 민주주의:반공주의와 근대화 95
제2절 민주노조와 인간적 노동조합주의 102
1. 기독교와 휴머니즘과의 만남 102
2. 내용과 정의 110
3. 조직과 실천 120
제3절 협조적 노동조합주의 124
1. 근대화 담론과 한국노총의 만남 124
2. 내용과 정의 133
3. 조직과 실천 138
제4절 독주와 저항 141
제4장 변혁과 개혁(1980년대) 145
제1절 광주의 발견:계급과 사회주의 145
제2절 변혁적 노동조합주의 157
1. 마르크스주의와의 만남 157
2. 정의와 내용 177
3. 논쟁과 위기 182
4. 조직과 실천 233
제3절 실리적 노동조합주의 262
1. 자유민주주의와 만남 262
2. 내용과 정의 266
3. 조직과 실천 272
제4절 경합과 이념지형의 변형 279
제5장 도전과 모색(1990년대 이후) 284
제1절 이념의 혼란, 혼동, 그리고 분화 284
제2절 민주노총의 도전과 모색 294
1. 조직과 실천:이견그룹의 등장과 정치적 성장 294
2. 논쟁과 분화:사회주의와 사민주주의 348
3. 분화와 경쟁:사회주의 혹은 사민주의? 466
제3절 한국노총의 도전과 모색 469
1. 새로운 실천과 노동운동노선의 점검 470
2. 정치세력화의 도전과 좌절 482
3. 분화와 경쟁:자유주의 혹은 사민주의? 507
제4절 이념분화와 정체성의 딜레마 510
제6장 평가와 전망 515
제1절 경합, 진화, 분화, 그리고 딜레마 515
제2절 이념빈곤의 기원 523
제3절 소통의 풍요와 정체성의 정치를 향하여 532
참고문헌 540
공안탄압으로 생명을 부지하려는 정권, 이명박은 퇴진하라!
8월 26일, 서울지방경찰청은 보안수사대를 동원해 사회주의노동자연합 운영위원 및 회원 7명을 체포하고, 사무실을 압수수색하였다. 공권력은 활동가들에게 국가보안법을 들이대며 “이적단체 구성 및 이적표현물 제작 배포 등 국가보안법 위반 혐의”라는 죄명을 뒤집어 씌웠다. 또한 사무실을 강제 압수수색하여 컴퓨터, 문서자료, CD, 서적등도 몽땅 압수해 갔다.
이명박 정권은 촛불투쟁을 잠재우려 갖은 수단을 동원해 폭력과 유혈진압을 일삼더니 이제는 사회운동 전반에 대한 무차별적 탄압을 자행하려 하고 있다. 정권은 촛불투쟁의 배후를 밝히겠다며 1600개의 시민사회단체로 구성된 <광우병 국민대책위>에 대한 공세적인 탄압을 자행하고, <한국진보연대> 대표자를 구속한 것에 이어 개별 사회단체의 정당한 정치활동까지 틀어막으려 국가보안법의 망령을 되살리고 있다. 뿐만 아니라 언론 장악, 인터넷 통제법 확대, 촛불시위 폭력진압, 불매운동 사법처리, 파업을 주도했다는 이유로 민주노총 금속노조 정갑득 위원장 구속 등 정권의 막무가내 탄압이 갈수록 확대되고 있다.
민중의 삶을 파탄내고 죽음으로 내몰고 있는 신자유주의 정책에 목숨을 걸 수 밖 에 없는 이명박 정권은 이미 국민으로부터 외면 받고 있다. 그러나 정권은 그 위태로운 자신의 권력을 폭압적인 공안탄압으로 부지해보려 헌법에 보장되어 있는 정치사상적 자유마저 부정하고 있다. 자신의 정치적 입장에 근거해 부당하고 그릇된 정부정책에 대해 비판하고 문제를 제기하는 것은 모든 시민이 가지고 있는 상식적인 권리이다. 안전하고 평화롭게 살아갈 수 있는 인간의 권리를 주장해온 시민들의 자발적인 촛불집회를 “불법”으로 몰아가고 있는 이명박 정권은 민주주의와 인권을 정면으로 거스르는 반민주 반인권 정권이다.
이명박 정권은 공안탄압을 즉각 중단하라! 시대의 악법 국가보안법을 폐지하라!
시민, 인권, 사회운동진영은 악법 중의 악법인 국가보안법을 잣대로 시민의 정당한 권리를 압살하려는 정권의 작태를 더 이상 좌시하고 있지 않을 것이다. 폭력진압으로 생명을 부지하려는 이명박 정권에 대해 강력한 퇴진투쟁을 전개해나갈 것이다.
2008. 8. 27
사회진보연대
이색적이게 삼성경제연구소에서 한미군사동맹 문제를 다루는 보고서를 발표했네요. <한미동맹의 주요 이슈와 의미: 군사동맹을 중심으로> 2008.08.19 방태섭 한미동맹은 새로운 전기를 맞고 있다. 지난 5년간 참여정부가 대북정책 중심의 자주외교를 중시하였다면, 이명박 정부는 자원외교를 중심으로 한 다자간 협력체제 강화에 중점을 두고 있다. 그런 가운데 한국은 새 정부 출범 직후인 2008년 4월 미국과의 정상회담을 통해 양국관계를 안보 중심의 군사동맹에서 글로벌 파트너로서의 21세기 전략동맹으로 격상시키기로 합의했다. Ⅰ. 연구 배경
Ⅱ. 미국의 군사변환과 주한미군 재배치
Ⅲ. 전시작전통제권 전환의 의미와 전망
Ⅳ. 시사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