긴급경제안정화법의 한계와 모순
구제금융 조치와 국제적 정책 공조는 위기의 폭발을 방지할 수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만일 현재의 금융위기가 미국 경제의 경착륙으로 이어지는 것을 당분간 지연할 수 있다면, 이는 오로지 위기의 부담을 해외로 전가하는 노골적인 ‘제국주의’를 통해서 가능할 따름이다. 현재 미국은 2009년 연방 재정으로 3조1천억 달러의 예산을 책정하고 있고 재정적자 규모를 약 5천3백억 달러(GDP의 3.5%)로 예상하고 있지만, 지난 9월 연준의 패니메이 및 프레디맥 구제에 투입된 2천억 달러와 부실자산 매입에 투여될 재무부의 7천억 달러 한도를 감안할 경우 재정적자 규모는 최소 1조4천억 달러(GDP의 9%)에 이를 전망이다. 더구나 이번에 통과된 7천억 달러로 미국 금융위기가 진정될 것이라고 보는 이들은 전무하다. 이를 예상한 듯 미국 재무부는 국가 채무한도를 기존 10조6천억 달러에서 11조3천억 달러(GDP의 약 80%)까지 늘리는 내용의 법안을 의회에 제출한 상태이기도 하다. 그렇다면 결국 미국이 조성하게 될 구제금융 비용의 상당 부분은 세계 여타 국가들이 미국이 발행하는 국채를 매입하는 방식으로, 즉 ‘울며 겨자 먹는’ 식으로 달러 유동성을 미국에 제공하는 방식으로 충당될 수밖에 없을 것이다. 특히 미 당국이 발행하는 국채의 상당 부분은 미국으로 상품과 자본을 동시에 수출하는 일본․중국 등 동아시아 국가들이 매입할 가능성이 농후하다. 이들 국가들은 대미 상품 수출을 통해 경제성장을 구가하고 있고 이는 미국 가계의 과소비로 실현되어 미국의 무역적자를 낳는데, 이들 국가들이 이러한 발전을 지속하기 위해서는 자신들이 무역흑자를 통해 확보한 달러로 미국 국채를 매입함으로써 달러 유동성을 미국으로 환류해야 하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