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부문 논의에 직접 적용되기 보다는, 공공성 개념 자체의 역사성과 계급투쟁적 성격, 다차원성 등에 대한 환기 정도로 이해할 수 있겠습니다. 여하튼 다음 토론은 주로 송유나 동지의 글을 중심으로 진행하면 될 것 같구요, 전 '김현우'입니다.
번호 | 제목 | 출처 | 날짜 | 조회 |
---|---|---|---|---|
1492 | [은평시민신문]저소득층 건강보험료 대납, 70만원 생색내기 사업을 현실화하라! | 보건의료팀 | 2010.11.10 | 27031 |
1491 | 연구소 주최 국제워크숍, 초국적기업에 대한 노동운동 전략 | 김용욱 | 2010.11.09 | 32101 |
1490 | 노동자운동연구소 박하순 소장 인터뷰 | 편집실 | 2010.11.04 | 39446 |
1489 | 노동자운동연구소 출범기념토론회 지상중계 | 이유미 | 2010.11.02 | 32315 |
1488 | 노동자운동연구소 출범식 풍경 | 노동자운동연구소 | 2010.11.02 | 30733 |
1487 | “노동운동 침체 분석해 대안 마련하겠다” | 김봉석 | 2010.11.02 | 29626 |
1486 | 노동자운동연구소 출범, “지구를 들었다 엎어라” | 김용욱 | 2010.11.02 | 36427 |
1485 | 마르크스의 임금이론 | 노동자운동연구소 | 2010.11.02 | 33401 |
1484 | [2010.10.28.] 한미, 한EU FTA 쟁점 토론회 자료집 | 공동토론회 | 2010.11.01 | 31734 |
1483 | 2010년 42차 한미안보협의회의(SCM) 공동성명 전문 | 한미안보협의회의 | 2010.10.29 | 3127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