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조가 1심에서 졌는데 고법에서 이겼습니다.
고용안정협약을 체결한 이후 정리해고를 했는데 이 협약체결의 효력을 인정한 경우라 하네요. 경영분석은 [협약체결 이후] 조합원을 해고할만큼 경영상황이 크게 악화하지 않았다는 것을 증명하는 데 촛점을 두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참고하세요.
번호 | 제목 | 출처 | 날짜 | 조회 |
---|---|---|---|---|
375 | 이 글의 영어본(pdf파일)입니다. | 한반도팀 | 2003.06.10 | 31547 |
374 | 푸투마요 지역과 플랜 콜롬비아 | 한반도팀 | 2001.12.14 | 21088 |
373 | 신자유주의 공공부문 구조조정과 노동조합의 대응전략 | 김성구,심용보 | 2001.12.03 | 22951 |
372 | [공공모임] 12월3일 자료 1 | 공공모임 | 2001.11.22 | 21566 |
371 | 민노당 공공특위 교육안 | 송유나 | 2001.11.20 | 24750 |
370 | [공공포럼 4차 발제문] 공공부문의 민영화와 구조개혁에 관한 시론 | 공공팀 | 2001.11.20 | 23977 |
369 | [공공모임] '사회화'의 관점에서 본 공공부문과 공공부문 투쟁 | 장석준 | 2001.11.20 | 21959 |
368 | 알고 싶은 것이 있습니다. | 공공노동자 | 2001.11.14 | 20594 |
367 | [공공모임] 경제위기 상황에서 대두되는 '실리적' 노동조합 노선의 한계와 문제점 | 김현우 | 2001.11.13 | 24077 |
366 | 공공영역 개념에 대한 이론적 정리 | 김현우 | 2001.11.10 | 2358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