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노동연구원> 연구보고서입니다.
아마도 5번의 결론을 만들기 위한 연구가 아니었을까 싶기는 한데.
----------------------------------------
2002년 6월 급여계산기간을 조산기준으로 2002.7.29~9.14 동안 60천 개소 표본사업체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를 토대로 사업체에 종사하고 있는 비정규근로자의 근로조건을 고용형태별, 사업체특성별 및 인적속성별로 분석한 결과
1. 조사개요
2. 비정규근로자의 분포
3. 비정규근로자의 임금수준
4. 비정규근로자에 대한 사회보험 및 부가급부 적용
5. 비정규근로자에 대한 근로조건이 예상보다는 높은 수준
-----------------------------------------
<> 본 자료는 한국노동연구원이 노.사.정의 자문을 받아 노동부가 2002년 중 실시
한 비정규근로자의 근로실태조사의 연구분석 결과임
o 2002년 6월 급여계산기간을 대상으로 조사한 1,283천개소의 사업장 중 약 21%
가 다양한 고용형태의 비정규근로자를 활용하고 있으며 비정규근로자 수는 약
1,360천명으로 집계
o 비정규근로자의 27%는 일용근로이며 25%는 단기계약근로
o 비정규근로자의 시간당 임금은 평균 5,900원
- 고용형태별로 보면, 용역근로자가 4,100원으로 가장 낮고 독립 도급근로자
가 10,000원을 약간 상회하는 높은 수준
- 주당 총근로시간은 39.7시간이며 시간제근로자가 31.7시간으로 가장 짧고
용역근로자가 49.1시간으로 가장 길게 나타남
- 4대 사회보험의 적용률을 보면 38~52%로 예상보다 높은 수준
<< 2002년 비정규근로자 근로실태조사 분석 >>
<> 조사개요
o 본 조사의 목적은 사업체에 종사하고 있는 비정규근로자의 근로조건을 다양한
고용형태별, 사업체특성 및 인적속성별로 파악하는 것
- 사업체에 종사하고 있는 자영업주 및 상용근로자를 제외한 종사자의 임금.
근로시간.사회보험.부가급여 등 각종 근로조건에 관한 사항을 사업체특성
및 인적속성별로 파악함으로써 비정규근로자에 대한 시의적절한 정책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
- 사업체조사를 통하여 비정규근로자를 활용하는 사업체를 파악하고 이들 사
업체에 대한 조사를 통하여 1,360천명의 비정규근로자를 파악하였음.
- 따라서 경제활동인구조사 부가조사에서 나타나는 비정규근로자의 규모(약
3,600천명)와는 상당한 수의 차이를 보이고 있는 바, 이는 표본사업체 중
조사제외된 공무원 등 공공부문 종사자 부분과 건설업 등과 같이 근로자의
임금대장이 존재하지 않는 사업장에서 조사가 원천적으로 불가능하였으며,
사업장에서 소속근로자로 간주하지 않는 비정규근로자, 보모, 가정부 등 가
사서비스업종사자, 개인경영 농림어업 종사자 등은 제외된 데서 연유함.
- 그러므로 본조사는 비정규근로자의 규모를 파악하기보다는 제한된 범위에서
의 비정규근로자의 근로조건실태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이
해하여야 함.
o 2002년 6월 급여계산기간을 조사기준으로 2002년 7월 29일부터 9월 14일 사이
에 60천 개소 표본사업체(종사자 1인 이상에서 추출)를 조사
-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행정, 가사서비스업, 국제 및 외국기관은 표본
에서 제외되었으며 국공립교육기관 및 학교, 병원 및 도서관 등 공무원이
근무하는 사업체도 조사대상에서 제외
- 사업체조사에서는 사업체의 일반적인 사항 및 고용형태별 성.직종별 근로자
수를 조사
- 비정규근로자를 사용하는 사업체에 속한 비정규근로자에 대해 고용형태, 출
생년월일, 성, 학력수준, 입사년월일, 근무형태, 계약형태, 직종 및 경력년
수, 근로시간(일수 및 정상·초과근로시간), 임금(산정기준, 기준임금, 정
액급여, 초과급여, 특별급여), 사회보험(고용보험, 건강보험, 국민연금, 산
재보험), 부가급여(상여금 및 퇴직금), 노동조합원 여부 등을 조사
o 본조사에 포함된 고용형태는 ①외국인근로자, ②독립도급종사자, ③재택(가내)
근로자, ④파견근로자, ⑤용역근로자, ⑥일시대체근로자, ⑦일용근로자, ⑧단
기계약직근로자, ⑨시간제근로자이며 외국인근로자는 분석대상에서 제외
<> 비정규근로자의 분포
o 비정규근로의 다양한 고용형태별 분포를 보면, 일용근로가 27%로 주종을 이루
며 단기계약근로의 비중도 25%로 높게 나타나고 있음(<표 1> 참조).
- 시간제근로는 18%, 용역근로는 16%, 독립도급근로는 9%를 차지
- 일시대체근로나 재택가내근로는 1% 미만에 불과하며, 파견근로의 비중도 4%
미만으로 상당히 낮게 나타남.
<표 1> 비정규근로자의 고용형태별 분포
(단위: 천명, %)
===========================================================================
전체 시간제 단기 일용 일시 용역 파견 재택 독립
계약 근로 대체 근로 근로 가내 도급
---------------------------------------------------------------------------
전 체 1,360 18.3 25.0 26.8 1.0 16.0 3.7 0.3 9.0
---------------------------------------------------------------------------
성 별
남 자 643 12.4 25.2 34.4 0.9 18.2 3.5 0.3 5.2
여 자 717 23.5 24.8 20.0 1.1 14.0 3.8 0.4 12.4
---------------------------------------------------------------------------
교육수준별
중졸이하 285 8.2 19.8 36.3 0.7 29.4 1.8 0.2 3.6
고졸 704 18.5 22.4 27.5 1.1 15.2 3.9 0.3 11.1
초대졸 133 21.2 37.0 15.0 1.3 8.7 8.3 0.4 8.2
대졸이상 164 26.5 42.9 8.6 1.0 4.3 3.8 0.5 12.4
미상 74 31.0 7.9 45.1 0.5 10.7 1.0 0.5 3.4
===========================================================================
- 여성의 경우 상대적으로 시간제근로와 독립도급근로에 치중하며 남성은 일
용근로와 용역근로에 치중
- 저학력일수록 일용근로와 용역근로의 비중이 높게 나타나며 고학력일수록
단기계약근로와 시간제근로에 치중
o 비정규근로자의 산업별 분포를 보면 제조업이 약 20% (<표 2> 참조)
- 서비스업 중 비정규근로자를 많이 사용하는 산업은 도매 및 소매업(약
17%), 숙박 및 음식업(약 13%), 금융 및 보험업(약 12%)의 순.
- 농림어업, 광업, 전기가스수도사업, 통신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1% 미만
- 산업별로 볼 때 비정규근로자 중 남성의 비중이 높은 산업은 건설업(94%),
운수업(76%), 부동산 및 임대업(69%), 오락문화운동 및 관련서비스업(59%),
사업서비스업(58%)
<표 2> 비정규근로자의 산업별 분포
(단위: 천명, %)
===========================================================================
전체 남성 여성
---------------------------------------------------------------------------
전체 1,360 (100.0) 643 (100.0) 717 (100.0)
---------------------------------------------------------------------------
농림업 3 ( 0.2) 2 ( 0.4) 1 ( 0.1)
---------------------------------------------------------------------------
어업 1 ( 0.1) 1 ( 0.1) 0 ( 0.0)
---------------------------------------------------------------------------
광업 1 ( 0.1) 1 ( 0.2) 0 ( 0.0)
---------------------------------------------------------------------------
제조업 265 ( 19.5) 124 ( 19.3) 141 ( 19.7)
---------------------------------------------------------------------------
전기가스수도사업 3 ( 0.3) 2 ( 0.3) 2 ( 0.2)
---------------------------------------------------------------------------
건설업 102 ( 7.5) 95 ( 14.8) 6 ( 0.9)
---------------------------------------------------------------------------
도매 및 소매업 227 ( 16.7) 112 ( 17.5) 114 ( 16.0)
---------------------------------------------------------------------------
음식 및 숙박업 179 ( 13.2) 40 ( 6.2) 139 ( 19.4)
---------------------------------------------------------------------------
운수업 56 ( 4.1) 43 ( 6.7) 14 ( 1.9)
---------------------------------------------------------------------------
통신업 8 ( 0.6) 4 ( 0.6) 5 ( 0.6)
---------------------------------------------------------------------------
금융 및 보험업 166 ( 12.2) 45 ( 7.0) 122 ( 17.0)
---------------------------------------------------------------------------
부동산 및 임대업 64 ( 4.7) 44 ( 6.8) 20 ( 2.8)
---------------------------------------------------------------------------
사업서비스업 61 ( 4.5) 35 ( 5.5) 26 ( 3.6)
---------------------------------------------------------------------------
교육서비스업 99 ( 7.2) 35 ( 5.5) 63 ( 8.8)
---------------------------------------------------------------------------
보건사회복지업 32 ( 2.3) 9 ( 1.5) 22 ( 3.1)
---------------------------------------------------------------------------
오락문화운동서비스업 55 ( 4.0) 32 ( 5.0) 23 ( 3.2)
---------------------------------------------------------------------------
수리개인서비스업 38 ( 2.8) 18 ( 2.9) 19 ( 2.7)
===========================================================================
주 : ( )안의 숫자는 해당 근로자 대비 비중.
- 여성의 비중이 높은 산업은 숙박 및 음식업(78%), 금융 및 보험업(73%),
보건사회복지사업(70%), 교육서비스업(64%)
o 비정규근로자는 상대적으로 사업체규모가 작은 사업장에 종사하는 비중이 높
은 편(<표 3> 참조).
- 비정규근로자의 사업체규모별 분포를 보면 1~4인 영세사업체가 27%를 차지
한 반면 300인 이상 대규모 사업체는 약 7%를 차지
- 사업체규모별 여성 비정규근로자의 비중은 0인(60%), 1~4인 영세사업체
(59%), 500인 이상 대규모 사업체(59%)에 상대적으로 집중
<표 3> 비정규근로자의 사업체규모별 분포
(단위: 천명, %)
===========================================================================
전체 남성 여성
---------------------------------------------------------------------------
전체 1,360 (100.0) 643 (100.0) 717 (100.0)
---------------------------------------------------------------------------
0인 181 ( 13.3) 72 ( 11.3) 109 ( 15.1)
---------------------------------------------------------------------------
1-4인 362 ( 26.7) 149 ( 23.1) 214 ( 29.8)
---------------------------------------------------------------------------
5-9인 171 ( 12.5) 97 ( 15.1) 73 ( 10.2)
---------------------------------------------------------------------------
10-29인 243 ( 17.9) 126 ( 19.6) 117 ( 16.4)
---------------------------------------------------------------------------
39-99인 193 ( 14.2) 93 ( 14.5) 100 ( 13.9)
---------------------------------------------------------------------------
100-299인 108 ( 7.9) 60 ( 9.4) 48 ( 6.7)
---------------------------------------------------------------------------
300-499인 33 ( 2.4) 17 ( 2.6) 17 ( 2.3)
---------------------------------------------------------------------------
500인이상 68 ( 5.0) 28 ( 4.4) 40 ( 5.6)
===========================================================================
주 : ( )안의 숫자는 해당 근로자 대비 비중.
<> 비정규근로자의 임금수준
o 비정규근로자의 월평균 정기급여(정액급여와 초과급여)는 916천원(<표 4> 참
조).
- 비정규근로자의 경우 특별급여의 적용률(33%)이 비교적 낮고 지급액(17천
원)도 낮음에 따라 임금총액은 933천원
- 비정규근로자의 월평균 정기급여를 고용형태별로 살펴보면 월평균 정기급여
는 시간제근로자가 568천원으로 가장 적고, 독립도급종사자가 1,617천원으
로 가장 많게 나타나고 있으며 50만원 미만의 저임금근로자의 비중은 약
22%
- 시간제근로자의 경우 월평균 정기급여가 가장 낮은데, 이는 근로시간이 다
른 유형의 비정규근로자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짧은데 크게 기인하며 50만원
미만을 받는 근로자의 비중은 52%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남.
- 한편 임금이 실적 또는 성과에 상대적으로 크게 영향을 받는 독립도급종사
자의 경우 월평균 정기급여가 가장 높을 뿐만 아니라 150만원 이상인 근로
자의 비중이 41%에 이르고 있음.
<표 4> 고용형태별 비정규근로자의 정기급여
(단위: 천명, %, 천원/월)
===========================================================================
전체 ~50만 50~100만 100~150만 150만~ 평균
---------------------------------------------------------------------------
전체 1,360 22.1 46.8 19.8 11.3 916
---------------------------------------------------------------------------
고용형태
---------------------------------------------------------------------------
시간제 248 51.8 39.9 5.3 3.0 568
단기계약 339 7.0 50.8 29.2 13.0 1,052
일용근로 364 27.0 44.2 19.7 9.2 831
일시대체 14 22.2 53.6 18.9 5.3 805
용역근로 217 13.8 62.5 18.0 5.7 834
파견근로 50 7.1 52.7 31.5 8.7 993
재택가내 4 8.1 60.7 20.2 11.0 1,011
독립도급 122 11.2 25.8 21.8 41.2 1,617
===========================================================================
o 2002년 6월 현재 민간 전산업의 비정규근로자의 주당 총근로시간은 39.7시간
으로 나타나고 있음(<표 5> 참조).
- 비정규근로자의 주당 총근로시간을 고용형태별로 살펴보면 총근로시간은 시
간제근로자가 31.7시간으로 가장 짧고, 용역근로자가 49.1시간으로 가장 길
게 나타나고 있음.
- 주당 총근로시간이 52시간 이상인 장시간근로자의 비중은 용역근로의 경우
29%에 이르고 있음
<표 5> 고용형태별 비정규근로자의 주당 총근로시간
(단위: 천명, %, 시간/주)
===========================================================================
전체 36 미만 36~44 45~52 52 초과 평균
---------------------------------------------------------------------------
전체 1,360 30.4 28.2 25.9 15.5 39.7
---------------------------------------------------------------------------
고용형태
---------------------------------------------------------------------------
시간제 248 57.4 20.0 14.0 8.6 31.7
단기계약 339 12.4 42.4 29.3 15.9 43.8
일용근로 364 41.3 17.3 26.4 14.9 35.6
일시대체 14 26.8 25.1 21.7 26.4 41.3
용역근로 217 13.9 20.3 37.2 28.6 49.1
파견근로 50 12.2 39.9 23.7 24.2 44.5
재택가내 4 25.5 43.8 21.2 9.5 41.4
독립도급 122 30.1 47.2 20.9 1.9 38.0
===========================================================================
o 2002년 6월 현재 민간 전산업의 비정규근로자의 시간당 정기급여는 5,830원이
며 시간당 임금총액(이하에서는 시간당 임금이라 함)은 5,926원으로 큰 차이
가 없음(<표 6> 참조).
- 이는 비정규근로자의 경우 특별급여의 비중이 높지 않기 때문이며 고용형태
별, 사업체특성별, 직종별 그리고 인구학적 특성별 시간당 정기급여와 시간
당 임금 사이의 전반적인 양상에서도 별 차이가 없음
- 비정규근로자의 시간당임금을 고용형태별로 살펴보면, 독립도급근로의 경우
10천원을 약간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나는 반면, 용역근로는 4,145원에 불과
- 시간제근로, 단기계약근로, 일용근로, 파견근로, 재택가내근로는 5~6천원의
유사한 수준을 보임
- 사업체규모별로 보면, 1~4인 5,168원에서 500인 이상 7,080원으로 사업체
규모에 따른 임금격차는 그다지 심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남.
<표 6> 고용형태별 비정규근로자의 시간당임금
(단위: 천명, %, 원/시간)
===========================================================================
전 체 ~2천미만 2~4천 4~6천 6천 이상 평균
---------------------------------------------------------------------------
전체 1,360 3.2 37.9 25.8 33.1 5,926
---------------------------------------------------------------------------
고용형태
---------------------------------------------------------------------------
시간제 248 4.1 59.9 18.5 17.4 5,305
단기계약 339 1.6 26.4 35.0 37.1 6,127
일용근로 364 1.2 35.8 23.2 39.8 5,880
일시대체 14 1.5 50.5 31.2 16.9 4,710
용역근로 217 7.8 51.7 23.5 17.0 4,227
파견근로 50 0.8 22.2 47.9 29.1 5,478
재택가내 4 1.9 24.7 45.1 28.3 5,986
독립도급 122 4.4 11.9 17.2 66.5 10,090
===========================================================================
<> 비정규근로자에 대한 사회보험 및 부가급부 적용
o 4대 사회보험의 적용률은 고용보험이 44%, 건강보험 41%, 국민연금 38%, 산재
보험 52%로 비교적 높은 수준을 보임.
- 고용형태별로 보면, 단기계약근로와 파견근로 및 용역근로의 경우 70% 내외
의 높은 수준을 보인 반면 일용근로나 시간제근로의 경우 20~40% 내외의 낮
은 비율을 보였으며, 특히 독립도급근로자의 경우는 10% 미만으로 낮게 나
타남.
- 전반적으로 4대 사회보험의 적용률은 가구단위 조사(경제활동인구 부가 조
사)에서 나타나는 적용률보다는 높은 수준에 해당하는 것으로 이는 상대적
으로 사업체와 긴밀한 고용관계를 맺고 있는 비정규근로자 중심으로 사업체
단위 조사에서 응답하였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됨.
* 산재보험의 경우 임금대장에는 산재보험료 항목이 없는 바 이의 적용은
응답사업장의 설문에 대한 인식에 따라 편차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함.
<표 7> 고용형태별 고용보험 적용률
(단위: 천명, %)
===========================================================================
고용보험 건강보험 국민연금 산재보험
---------------------------------------------------------------------------
전체 43.7 40.8 38.2 52.2
---------------------------------------------------------------------------
시간제 23.5 17.6 17.8 29.1
단기계약 73.9 72.1 68.5 73.5
일용근로 18.6 12.3 11.5 39.0
일시대체 46.4 37.1 35.1 50.8
용역근로 75.7 78.6 70.1 87.7
파견근로 77.2 71.9 71.1 79.9
재택가내 20.1 19.4 17.4 31.5
독립도급 5.2 7.4 5.9 6.0
===========================================================================
주 : 적용률 = 적용/(적용+미적용)*100.
o 본 조사에서는 부가급부 중 상여금과 퇴직금의 적용실태를 파악하고 있는데
전반적인 적용률은 상여금의 경우 33%, 퇴직금의 경우 47%로 예상보다 높은
수준 (<표 8> 참조)
- 각 부가급부의 적용실태는 정규근로자와 동등하게 적용하는지 부분적용하고
있는지를 파악하고 있는 바, 동등적용의 비중은 상여금의 경우 18%에 불과
하며 퇴직금의 경우는 39%로 나타남.
- 비정규근로자에 대한 상여금 적용률은 고용형태별로 상당한 차이를 보여,
파견근로가 60%를 상회하며 용역근로와 단기계약근로가 40%대로 높은 반면
독립도급근로, 시간제근로, 일용근로, 일치대체근로에서는 적용률이 상대적
으로 낮은 편
- 비정규근로자에 대한 퇴직금 적용률 역시 고용형태별로 상당한 차이를 보이
고 있는 바, 단기계약직, 용역근로, 파견근로에서 다른 고용형태에 비해 상
대적으로 동등적용률이 50%를 상회하는 높은 수준을 보이며 독립도급근로,
시간제근로, 일용근로, 재택가내근로에서는 적용률이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
로 나타남.
<표 8> 고용형태별 부가급부 적용률
(단위: 천명, %)
===========================================================================
전체 상여금 퇴직금
---------------------- --------------------------
적용률 동등적용률 적용률 동등적용률
---------------------------------------------------------------------------
전체 1,360 32.9 17.8 47.4 39.0
---------------------------------------------------------------------------
시간제 248 22.8 7.7 38.2 29.3
단기계약 339 48.4 28.9 68.0 60.0
일용근로 364 17.0 3.4 25.7 16.8
일시대체 14 21.7 7.1 21.1 14.0
용역근로 217 47.9 39.2 76.9 70.4
파견근로 50 62.1 49.1 72.5 64.5
재택가내 4 37.2 11.8 36.9 17.5
독립도급 122 20.6 1.0 14.6 4.5
===========================================================================
주 : 적용률 = (동등적용+부분적용)/ (동등적용+부분적용+미적용)*100.
동등적용률 = (동등적용)/ (동등적용+부분적용+미적용)*100.
<> 비정규근로자에 대한 근로조건이 예상보다는 높은 수준
o 가구조사인 경제활동인구조사 부가조사(2002년 8월)에 나타난 비정규근로자의
근로조건보다는 전반적으로 양호한 근로조건을 갖는 것으로 나타남.
- 부가조사의 경우 임금근로자의 시간당임금(=지난 3개월간의 월평균근로소득
/ 총근로시간)은 5,571원, 비정규근로자의 경우 4,134원에 불과하였으나 본
조사에 나타난 비정규근로자의 시간당임금(=임금총액/ 총근로시간)은 5,926
원으로 상당히 높은 수준
- 4대 사회보험의 적용률 역시, 부가조사에서는 약 43%의 임금근로자와 80%의
비정규근로자가 모든 사회보험에서 적용배제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는 반
면 본조사에서는 비정규근로자의 38~52%가 사회보험의 혜택을 받고 있는 것
으로 나타남.
- 이러한 차이는 가구조사와 사업장조사의 차이에서 나타나는 일반적인 현상
이나 향후 이러한 차이가 발생하는 원인의 규명이 필요함.
* 본조사와 같은 사업장조사에서는 다소의 정규성을 가진 비정규근로자는
포함된 반면 사업장에서 자신의 인력 으로 인지하지 않는 열악한 환경에
처한 비정규근로자는 파악되지 않은 것으로 보임.
o 비정규근로자의 근로조건의 실태가 어느 정도 파악된 것은 사실이나 정규근로
자와의 직접비교는 불가능
- 본 조사는 조사대상을 비정규근로자에 국한하였기 때문에 비정규근로자와
정규근로자의 근로조건을 비교하기는 어려운 실정임.
- 향후 정규근로자 자료가 보강될 때 정규- 비정규근로 간 임금격차 및 근로
조건의 격차와 이의 원인을 보다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으며 차별적 요인을
추출해 낼 수 있을 것으로 보임.
- 특히 정규- 비정규근로 간 격차는 동일한 사업장에서 동일 또는 유사한 업
무를 수행하는 근로자를 비교하여야 하므로 향후 이런 방향에서 조사를 수
행하는 방안이 개선되어야 할 것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