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진보연대


사회운동

사회진보연대 계간지


2003.1-2.32호
첨부파일
031_2과학과진실_김영식.hwp

모든사람을 위한 과학 -Science for all-

R. RAMACHANDRAN | 번역: 김영식 |회원
인터넷과 월드 와이드 웹의 개념은 전통적인 출판 패러다임에 도전하고 있다. 웹환경의 영향은 데이터 파일, 이미지, 그래프, 텍스트 그리고 동영상을 전세계 개인 컴퓨터로 전송할 수 있게 해주는 것만이 아니었다. 많은 주요 학술 저널의 높은 구독료로 인해 심각하게 왜곡되고 있는 학술 커뮤니케이션 영역, 특히 과학 연구 저널의 영역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거대 상업 출판사들이 이러한 가격 상승에 앞장서고 있다. 높은 저널 가격은 일반 도서관에서 다수의 저널을 구독할 수 없게 하고, 이렇게 [낮아진 구독율은] 다시 가격을 상승시키는 악순환이 계속되는 소위 "정기간행물의 위기"로 빠져들게 한다.

[과학 저널의 가격상승은] 개발 도산국의 도서관에 특히 큰 타격을 주고 있다. 주요 저널들을 구독하기 위해서, 다수의 저널 구독을 취소하고 도서구입 마저 줄여야 되는 지경에 이르렀다. [선진국 또한 예외가 아니었다.] 제한된 자원을 가진 많은 기관에서는 이와 유사한 압력을 받고 있다. 이러한 위기의 해결책으로 미국의 곤충학자 토마스 워크(Thomas J. Walker)는 그의 작은 연구자들 공동체내에 논문 원고의 전자-버젼(E-versions)을 혁신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그에 따르면 "여러 가지 대안을 위한 새로운 지식과 방법으로 가득한 세상이지만 [여전히] 정보 빈자가 있고 어려움을 격고 있는 지역이 존재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도 인터넷의 빠른 기술 발전은 주요 연구 문헌의 온라인 출판을 혁신하고 전세계의 과학자들에게 공정하고 저렴한 가격을 보장해 줄 것으로 사람들은 생각하고 있다. 그러나 아이러니 하게도 인터넷 혁명은 자유롭고 열린 디지털 정보[가 충만할 것이라는 예측과는] 달리 정보 접근에 새로운 장벽이 형성되고 있다. 워크에 따르면 이것은 "톨게이트식 접근"이며, [새로운 혁신적인 방법이 아니라] 대형 출판사가 이익을 극대화하기 위한 현재 과학저널 출판 경제 구조의 [단순한] 확장일 뿐이다.

출판업자들은 과학 저널 논문의 인쇄판본을 구독하는 형식과 유사하게 온라인 구독료를, 사이트 라이센스 그리고 "페이-퍼-뷰(Pay Per View)" 혹은 "페이-퍼-다운로드(Pay-per-download)"와 같은 다양한 형태로 부과하고 있다. 이러한 요금으로 인한 경제적 이익은 (실제 시장에서 거래되는 내용을 생산한 자인) 과학자들과 그가 속은 소사이어티에는 분배되지 않고 있다고 워크는 지적한다. 그렇지만 공공자금으로 수행된 연구의 결과가 높은 가격의 상품이 것에 대한 반대 움직임이 과학자들 사이에서 일어나고 있다. 워크는 "디지털 미래로 총체적으로 전환되는 시기에 (학문분야) 소사이어티는 과학 저널에 대해 중요하고도 대안적인 선택권을 가지고 있다. 그 선택은 연구 커뮤니티의 목적에 맞고, 정기간행물의 위기에 대한 제도적 해법도 제공하고, 온라인 출판에 자금을 공급할 뿐만 아니라 지식을 모든 사람들이 이용가능하게 하는 방향이어야 한다"고 지적한다.

이러한 구상은 미국의 한 생의학자 그룹에서 제안된 공공과학도서관(Public Library of Science, 이하 PLoS)으로 실현되고 있다. PLoS의 웹사이트()에 따르면, PLoS는 과학자들의 비영리 단체로 "과학의 발전과 교육 그리고 공익을 위해서 공공 문헌과 의학 문헌들을 자유롭게 접근할 수 있게"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년전 PLoS에 의해 보내진 '열린 편지(Open Letter)'는 연구 문건에 대한 자유로운 전자적 접근(e-access)에 대한 많은 관련 토론을 유도하였으며, 특히 급부상하고 있는 생물과학 영역에서는 [다양한] 논쟁으로 발전하였다.

실제 PLoS의 아이디어는 1999년 5월 미국 국립 보건원(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NIH)의 원장이고 현재 메모리얼 슬로언 케터링 암센터(Memorial Sloan-Kettering Cancer Cente)의 해놀드 바머스(Harold E. Varmus)와 스탠포드 대학의 패드릭 브라운(Patrick Brown) 그리고 미국 국립생명공학센터(The US National Center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NCBI)의 데이비드 립만(David Lipman)에 의한 제안에서 비롯되었다. 이들은 모든 생명과학 연구 문헌들이 PubMed Central(PMC)라고 하는 자유롭게 접근가능하고 중앙집중화된 [디지털] 저장장소를 만들고자 하였다. 처음에는 E-BioMed라고 불리운 PMC는 미국의 국립 의학 도서관(US.'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NLM) 부속 NCBI에서 운영되고 있다. NCBI는 이미 생의학 논문의 요약만을 공개하는 PubMed와 같은 온라인 데이터 베이스와 유전자 염기서열을 위한 GenBank를 운영해본 경험이 있는 곳이다.

PLoS의 기본적인 철학은 "영구 보존되는 과학 연구 기록과 아이디어가 출판사의 소유가 되고 [출판사에 의해] 좌지우지되는 것에 반대하고, 공공의 소유로 전환되어 자유롭게 접근가능하게 해야 된다는 것"이다. 그리고 출판된 과학 문헌을 수집하고 배포하는 국제적인 온라인 과학도서관을 만들고, 접근이 제한된 수천개의 서로 다른 저널로 분산되어 있고, 또한 수백만개로 분리되어있는 각종 보고서들을 한곳에 합쳐, 관련 자료를 링크하여 쉽게 찾을 수 있게 하는 기술을 지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열린 편지(Open Letter)에 서명한 사람들은 2001년 9월 초부터 '저널출판사들 중 출판후 6개월이 지난 후에 그들이 출판한 모든 연구 문헌들과 그와 유사한 온라인 공공 정보들을 PMC를 통해서 자유로운 배포를 허용하지 않은 출판사들에 대해서 보이콧'할 것을 결의 하였다.

PLoS는 이러한 제안이 상업 출판업자와 비 영리적인 출판업자 그리고 과학자와 대중들 모두에 대해서 균형을 유지하고 있는 제안이라고 주장한다. [PLoS에 따르면] 편집, 동료심사(Peer review) 그리고 출판 등 출판사의 [고유한] 역할에 대한 보상으로 출판한 연구 보고서의 원본에 대해서 소유권 대신 6개월의 임대기간을 가질 수 있다. 임대기간이 종료되면 연구보고서는 공공영역으로 포함되게 된다. PLoS에 따르면 6개월은 출판업자들이 자신의 출판물에 대해서 전자 접근과 인쇄판에 대한 구독료로 수익을 충분히 유지할 수 있는 기간이다.

사이언스지(Science, American Assoco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AAAS에 의해 발간되는 저널) 3월호에, PLoS를 찬성하는 사람들의 편지가 개제되었는데, 이 편지에 따르면 출판된 문헌에 대해 중앙집중적이며 포괄적인 아카이브의 개념은 GenBank의 사례에 비유하고 있다. 이 편지에서 [PMC와 같이 과학 저널을 중앙 집중적으로 모으지 않고] 저널 출판사 자신의 웹사이트를 통해서 일정기간 이후에 온라인 콘텐츠에 자유로운 접근을 허용하는 일부 저널의 행보에 대해서도 만족스럽지 않다고 밝히고 있다.

"저널 출판사의 웹사이트에서 출판사 통제하에 한번에 한 개의 논문만 자유롭게 접근하게 하는 방식과 하나에 포괄적으로 모여 있으면서 자유로운 접근이 가능한 방식은 서로 많은 차이가 있다. 후자의 경우 효과적으로 찾고 색인하고 링크할 수 있지만 전자의 경우는 그렇지 못하다. 규칙적이고 명확하게 정의되고 구조화된 문헌 저장고를 만들어야지만 생명과학의 연구 문헌에서 활동적인 디지털 아카이브(archive)가 가능하다" 이 아카이브가 방해받지 않고 접근이 자유롭고 [아카이브 내의 정보에 대해] 공개적인 배포가 가능해야지만 여러개의 단편으로 나누어져 있어 혼란스럽기까지 한 현 과학 문헌들을 연구자들 [스스로] 연결하고 통합하려 할 것이다.

[PLoS 측에서] 생각할 수 있는 첫 번째 공공 아카이브는 PMC이다. 열린 아카이브에 참여하는데 드는 비용은 아주 작을 뿐만아니라 출판사들의 참여를 통해 과학 커뮤니티에 가져다주는 이익은 그 비용을 상쇄하고도 남을 것이다. 사이언스지에 공개된 편지에서는 생물학과 생의학 분야에서 출판된 논문의 전자 버전을 (몇개월 후에) 자유롭게 접근가능하고 배포가능한 PMC에 저장하는 것이 "성공적으로 진행된다면 10년 내에 모든 사람들의 과학적 능력은 훨씬 커질 것이고 그 때가 되면 사람들은 이런 아카이브 없이 연구가 어떻게 가능할까 하며 의아에 할 것이다."고 언급하고 있다.

E-BioSci, 유럽 디지털 생물 정보 네트워크의 소장 레 글리벨(Les Grivel)은 [PLoS의] 제안이 좀더 진행되기를 바랬다. 그는 데이터 베이스에 제한된 접근이 특히 EU의 데이터베이스 지침 이후에 훨씬 더 심각한 문제이지만 그것이 무시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역시 게놈 데이터에 접근하기위해 셀레라 제노믹스(Celera Genomics)가 부과한 조건을 사이언스지에 인용하였다.

사실, 과학자들이 연구 정보를 상호 링크하고 통합하는 작업을 할 수 있느냐는 논외로 하더라도, 중앙 집중화된 저장소는 실험 데이터의 패턴을 추출하기 위해 데이터를 가공하는데 도움을 줄 뿐아니라 새로운 발견에도 유용할 것이다. 그렇지 않다면 전세계에 흩어져있는 방대한 자료들을 일일이 찾아야 된다. 게다가 많은 연구발표에 따르면 열린 접근(Open access)이 주어진 문헌에 대한 인용회수나 impact factor를 효과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러나 사이언스지의 편집위원들은 PLoS의 개념에 반대하고 있다. 아카이브 사이트로서 PMC의 생각을 거부하면서 사이언스지는 스텐포드 대학의 비영리 다국적 논문 저장소인 HighWire Press(HWP)를 선호한다. 이 HWP는 생물학 물리 그리고 상호 관련 논문들을 포함하여 240여 저널들을 모아 놓았다. 여러 저널 사이트를 통한 논문 찾기 기능은 HWP 사이트에서 이미 가능하게 되었다.

사이언스지는 PLoS의 입장에 대해 3가지 근거를 통해서 반대하고 있다. : PLoS는 자신의 사이트를 통한 온라인 거래의 이익을 주요 수익원으로 하는 사이언스지와 같은 저널에 반대한다. ; 컨텐츠의 제한 없는 배포는 저널의 오용을 낳고 논문의 엄밀성을 떨어뜨리게 할 것이다.; 그리고 PMC와 같이 정부가 주도할 경우 독점 공급에 따르는 위험성을 초례할 것이다. 전문가 소사이어티에서 운영되는 특별한 저널은 학교 도서관의 가입을 주요 수입원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만약 논문이 PMC에서 자유롭게 접근가능하게 되면, 주요 수입원을 잃어버리게 되어 유지할 수 없게 될 것이라고 사이언스지는 주장하고 있다.

이러한 사이언스지의 주장에 대해 즉시 PLoS 측은 자신들의 제안을 오해하고 있고, 협회의 관성에서 비롯되는 저널측의 "소심한 대답"일 뿐이라고 반박했다. PLoS 측은 원본 문헌에 대한 어떠한 형태로도 독점 소유에 반대하면서 현 출판 시스템이야 말로 각 출판업자들의 독점이라고 반박하였다. 또한 왜 사이언스지가 HWP와 같은 개인 독점형태를 PMC보다 더 선호하는지를 되물었다.

PLoS 측은 사이언스지 논문에 자유롭고 열린 접근을 허용하면, 바로 수입이 감소될 것이라고하는 사이언스지 편집위원들의 주장도 반박하였다. PLoS의 지지자들에 따르면 PNAS(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지와 Molecular Biology of the Cell지의 경험은 그렇지 않다는 것을 증명해 준다고 한다. 이들 저널은 그들의 컨텐츠를 출판후 두달안에 무료로 이용할 수 있지만 구독료 수입은 줄어들지 않았다고 한다. (그러나 일부 출판물에 대해서는 구독료 수입이 약간 줄긴 했지만 아주 작은 감소였다)

PLoS 측은 온라인 거래가 없어지면 주요한 수입원이 사라진다는 사이언스지의 주장은 근거가 없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그들은 AAAS의 구성원으로써 사이언스지에 모든 수입원과 지출 그리고 사이언스지의 수익에 해택을 받는 모든 활동 등 모든 재무기록을 공개할 것을 요구했다. 그리고 콘텐츠의 오용에 대한 사이언스지의 우려에 대해서는, 전체 논문에 자유롭게 접근할 수 있을 때보다 논문 접근이 제한되었을 때 더 많은 오용사례를 볼 수 있다고 주장한다.

네이쳐 저널도 역시 자유로운 전자 접근(e-access)에 대해 다양한 의견을 이끌어 내고 있는 토론사이트를 운영하고 있다. 네이쳐는 기존 시스템과 관련된 사업 모델에 대한 전면적인 해체에 대해서는 반하는 입장을 밝히고 있다. [이들이 운영하는 토론 사이트에는], '문제는 현재 저널 시스템의 최상의 모습을 보호하는 것이다'라는 목소리와 'Elsevier Science와 같은 민영 출판 업체는 PLoS/PMC의 생각과 학회의 운영에 대해서 반대하고, 완전히 자유로운 재배포를 허용하는 한 동의하지 않을 것이다. 그리고 "목욕물을 버리려다 아이까지 버리는"에 반대한다는 보수주의 목소리도 있다. 또 일부에서는 PLoS의 입장을 "건방진(arrogant)"것으로 언급하고 있다.

옥스퍼드 대학 출판사의 마틴 리차드슨(Martin Richardson)은 고품질의 온라인 저널을 출판하는 것은 매우 비용이 많이 드는 사업이다고 언급하며 자유로운 전자적 접근을 허용하기 위해서는 구독료 기초로하는 수익 모델 대신에 새로운 재정 메카니즘을 요구하였다. 미국 물리 학회(American Physics Society)의 편집장인 마틴 브룸(Martin Blume)은 구독료와 페이지당 요금을 걷는 대신에 소사이어티나 기관이 저널의 후원자가 되어 매년 기부를 하는 방법을 제안한 바 있다.

PLoS의 웹사이트에 따르면 2002년 1월 27일까지 174개국의 29,091명의 과학자들이 열린 편지에서 [주장하는 보이콧에 동참할 것을] 서명을 했고, 출판 기관보다는 과학자들에게 더 많은 지지를 받고 있다. 2001년 8월 31일 PLoS 웹사이트에 올라온 편지에 따르면, 많은 과학 출판사들이 보다 자유롭게 접근하는 방향으로 환영받을 만한 진전은 있었지만 PLoS가 제안한 "합당한 정책"에는 크게 미치지 못하고 있다.

그렇다면 보이콧에 서명하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8월 31일 PLoS 지지자들 모두에게 보낸 편지에서 보이콧에 대한 약속을 다시 한번 상기시켰다. " (열린 편지에서 제안한 정책을 수용하는) 이러한 저널에만 논문을 투고하고 자발적인 도움(논문 심사와 편집)을 줌으로써 출판사든 정부든 어떤 존재도 과학문헌에 대해 좌지우지할 수 없다는 믿음을 재확인할 것이다"

[그러나] PLoS의 철학은 전부 수용하는 저널은 그리 많지 않았기 때문에 PLoS는 다소 유연한 입장을 취하고 있다. 출판되는 논문이 그 특성상 PLoS의 기준을 따르지 못할 때 PLoS는 6개월내에 제한 없이 자유롭게 재배포할 수 있는 목표에 가장 근접하게 출판하는 것을 허용하고 있다. 그리고 PMC도 초기의 중앙집중화된 방식 분산된 방식, 즉 저널 출판사들이 희망한다면 저널의 웹사이트에서 전체 논문을 볼 수 있게 하는 주장으로 완화했다.

"사실 이 보이콧이 얼마나 영향을 미칠지 말하기는 어렵다. 생물학에서는 물리학과는 다르게 개인 소유의 저널들이 많은 명성을 얻고 있고 인용도가 높다. 중앙집중적이고 포괄적으로 찾을 수 있는 아카이브에 대한 생각은 매우 유용하고 좋은 생각이지만 이 보이콧이 즉시 효과를 보일 것 같지는 않다"고 인도 과학 재단의 P. Balaram씨는 [현재 상황을 잘 설명해 주고 있다]

"불행히도 많은 저널출판사들이 PMC에 참여하지 않고 있다." PLoS의 열린 편지에 참여자 중에 한사람인 인도의 국립 생물과학 센터의 K. VijRaghavan씨도 역시 유사한 생각을 피력했다. "고참 과학자들은 높은 가격의 저널과 유명 저널을 거부할 여유가 있지만 젊은 연구자들은 그들의 경력이 연구성과를 출판하는 출판사의 [명성에] 의존하기 때문에 거부할 여유가 없다." 그가 느끼기에 유일한 해결책은 비용을 현격하게 줄이면서, 온라인 동료심사(Peer-review)가 가능한 양질의 전자 버전의 저널을 직접 만드는 길이다. [그러나] 이러한 제안을 실현하기란 [사실] 어렵다. 인쇄 저널을 완전히 없어 질것이라는 확신과 용기를 가진 어떤 기업을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2000년 1월에 워크는 미국 곤충학회(Entomological Society of America, ESA)에서 발간하는 4개의 곤충학 저널의 논문에 대해 IFWA(Immediate Free Web Access)를 파는 개념을 주장했다. IFWA는 전자 버전의 저널을 구입하기 위해서 [이전까지 관례였던] 인쇄버전의 예상구매도 요구하지 않고, 합당한 가격으로 거래되고 있다.. 저자들은 (인쇄버전에 패이지 당 요금을 지불하는 것처럼) 전자 버전에 자유롭게 접근하기위해 가격을 지불한다. 이러한 제안은 현실성이 있기 때문에 과학자들사이에 넓게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현재] IFWA를 구매하는 비율이 점차 상승하고 있고, 직접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서비스임이 증명되고 있다. IFWA를 구매하는 ESA의 저자들의 수는 13%에서 50%로 증가하고 있다. 워크는 이것이 점차적으로 인쇄버전을 완전히 소멸시킬 수 있을 것으로 여기고 있다.

ESA 모델이 모든 종류의 저널에 효과적으로 발휘할 수는 없지만 확실한 것은 저널 출판에 있어 새로운 패러다임이 나타나고 있다는 것이다. PLoS의 [관련자들은] 과학 연구 출판이 완전히 그들의 원칙에 맞추기 위해서는 스스로 출판하는 길 뿐임을 알게 되었다. 8월 31일 편지에서 "우리들이 함께 우리가 요구하는 저널을 만들 시기가 왔다"라고 언급하였다. PLoS는 과학자들 [스스로] 책임감 있고 효율적인 동료심사와 수준 높은 편집 기준으로 [과학적] 성과를 출판하는 구조를 만드는 것, 그리고 동시에 출판 순간부터 자유롭고 제한 없는 배포와 접근이 가능하게 하는 것이 [반드시] 필요하고 재정적으로도 가능하다고 확신하고 있다. PLoS는 지금 이러한 기치로 비영리 과학 출판사를 세우려고 하고 있다. 그리고 이 출판사는 과학자들에 의해 과학과 공공의 이익을 위해서 과학자들에 의해 운영될 것이다.

2000년 5월에 [과학 저널의] 원본에 대한 자유로운 전자 접근을 허용하여 과학자들로부터 활발한 지지를 받고 있는 전자 출판업체인 BioMed Central(BMC)는 출판 분야에서 뜻을 같이하는 기업과 함께 PLoS의 기본 철학을 가지고 전자-저널 BioMed Central을 출범시켰다. 이 저널은 온라인으로 중재하고(refereeing) 동료심사의 과정을 포함하고 있다. 총 57개의 저널을 웹사이트 www.BioMedCentral.com에 생물학과 의학쪽분야에서 자유롭게 접근가능하게 출판하고 있다.

그렇다면 왜 생물의학 영역에서만 이러한 전통적인 출판 패러다임에 대한 전복의 요구가 있는 것일까? 주요한 이유는 아마도 생물과학이 최근 30년 동안 급성장한데서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이 분야에서 출판사들은 대부분 개인 출판사였고, 이들 개인 출판사들은 과학자들의 소통공간으로써의 과학저널의 고유한 역할에 충실하려 했던 것이 아니라] 생물분야의 빠른 성장을 수익창출의 기회로 보았던 것이다. [이로 인해 다른 저널 보다 구독료가 비싼 저널들이 많았다. 이에 대한 반대작용으로 볼 수 있다]

[또 다른 이유로는] 문화적인 문제일 수 있다. 물리학이나 수학분야에서는 예비 논문 형태로 정보를 널리 유통할 수 있는 전통이 있어 왔는데(이 전통은 생물학이나 생물의과학분야에서는 찾아 볼 수 없다)컴퓨터 시대에는 이러한 전통이 전자-버전으로 [계승] 되었다. 그래서 연구자들은 출판 전에도 가장 최근의 문헌들을 전자적으로 자유롭게 접근할 수 있다. 이렇게 고유한 구조를 가지고 있는 e-print 아카이브인 "셀프-아카이브-이니셔티브"를 만들고, 이러한 상호 이용 가능한 아카이브들의 성과를 자유롭게 접근가능한 하나의 글로벌 아카이브를 형성하는 생각들이 생물 과학분야에서 논의 되고 있지만, 이것들은 이미 물리학에서는 발전시켜오고 있는 전통이다.

수학자들과 물리학자들은 오늘날 일상적으로 자신의 원고를 e-print 인터넷 서브에 올리고 출판을 위해서 저널출판사에도 투고한다. 만약 원고가 다시 수정되면, 새로운 버전이 다시 서브에 올라오게 되는데 이때 구 버전도 온라인 아카이브에 남아 있게 된다. 만약 어떤 주제에 대해 논란꺼리가 발생했을 때 [이러한 구번전과 신버전을 확인할 수 있어] 우선권에 대한 문제를 쉽게 해결할 수 있게 한다. 가장 유명한 e-print 서브는 로스 알라모 국립 연구소(Los Alamos National Laboratory LANL)의 xxx.lanl.gov이다. 현재 매년 논문당 15$(간접비 포함)의 비용으로 물리학 분야에서 25,000건의 투고 논문을 처리한다. LANL e-print 아카이브의 창시자이며 현 운영자는 물리학자 Paul Ginsparg는 신생 웹기술을 이렇게 사용하는 것이 올바른 사용하는 것으로 여겼기 때문에 이 아카이브를 시작했다고 한다. 물론 현재 이 서브의 인기는 매우 크고 이러한 e-print는 넓은 영역에서 영향을 미치고 있다.

물리학 분야에도 여전히 최종 버전을 온라인에서 접근하려고 하면 장애가 존재한다. 하지만 생물학분야 만큼은 심하지 않다. 이 분야에서는 온라인 접근의 비용은 비이성적으로 높다. 자유로운 전자 접근에 대한 논쟁 사이트를 운영하고 있는 네이쳐지는 이러한 혐의에 자유롭지 못하다. 그러나 생물의학 분야에서의 지속적인 논쟁은 다른 분야에서도 이후에는 받아들일 수 있는 해결책 혹은 새로운 방법을 낳을 수 있게 할지 모른다.

웹기술 역시 방대한 과학 문헌과 데이터를 온라인상에서 처리하고 수집할 수 있게 발전하고 있다. WWW의 창시자인 팀 버나스리에 의해 개발되고 있는 기술로, 웹의 내용을 기계가 잘 이해할 수 있게 만든 것인 '시맨틱웹(Semantic Web)'과 LANL에서 개발되고 있는 '수용할 수 있는 분산화된 웹('adaptive decentralised web)의 경우가 그런 기술에 해당한다. 그리고 PMC 혹은 HWP와 같은 아카이브에 적용하기 위해 개발되는 새로운 찾기 툴 과 엔진과 함께 이러한 기술은 가까운 미래에 과학출판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열 것이다. 그리고 과학에서 학술 강연과 대화의 양식을 바꾸어 나갈 것이다.
주제어
교육
태그